1. 에너지 절약을 위한 동력설비의 대응방안

- 고효율 전동기 채용

- 부하의 역률개선(역률개선용 콘덴서를 전동기별로 설치)

- 전동기 제어 시스템의 적용(VVVF 시스템)

- 에너지 절약형 공조기기 system 채택(heat pump, 폐열회수 냉동기 채용, 흡수식 냉동기 채용)

- 엘리베이터의 효율적 관리(군 관리 운전방식, 운전대수 제어)

- 부하에 맞는 적정용량의 전동기 선정

 

 

2. 조명설비에서 전력을 절약하는 효율적인 방법

- 고효율 등기구 채택

- 고조도 저휘도 반사갓 채택

- 슬림라인 형광등 및 안정기 내장형 램프 채택

- 창측 조명 기구 개별 점등

- 재실감지기 및 카드키 채택

- 적절한 조광 제어 실시

- 고역률 등기구 채택

- 등기구의 보수 및 유지 관리

- 등기구의 격등 제어 및 회로 구성

- 전반 조명과 국부 조명(TAL 조명)을 적절히 병용하여 이용

 

3. 수변전 설비에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방안

- 고효율 변압기 채택

- 변압기의 운전대수제어가 가능하도록 뱅크를 구성하여 효율적인 운전관리를 통한 손실을 최소화시킴

- 전력용 콘덴서를 설치하여 역률 개선

- 최다수요전력제어(Peak Demand Control) 시스템을 채택

1. 인텔리전트 빌딩(Intelligent building)

- 빌딩 자동화 시스템, 정보 통신 시스템, 건축 환경을 총 망라하는 건설 및 유지관리의 경제성을 추구하는 빌딩

 

2. UPS(Uninterruptible Power Supply)

-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로, 인텔리전트 빌딩의 전산 시스템을 유지하기 위해 비상전원으러 사용되고 있음

- 상용전원으로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다가 정전 시 축전지의 직류를 교류로 변환하여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장치

2-1. UPS의 2차 측 단락사고 등이 발생 했을때, UPS와 고장 회로를 분리하는 방식 3가지

(1) 배선용차단기에 의한 방식

(2) 속단퓨즈에 의한 방식

(3) 반도체차단기에 의한 방식

3. 인버터(AC): 직류(DC)를 교류(AC)로 변환하는 장치

4. 컨버터(DC): 교류(AC)를 직류(DC)로 변환하는 장치

5. 축전지

- UPS가 동작되면 전력공급을 위해 필요한 축전지

5-1. 축전지용량

C=1/L*K*I

C: 축전지의 용량[Ah]

I: 방전 전류[A]

K: 용량환산 시간 계수

L: 보수율 = 정년용량 저하율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