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코로나 현상

- 임계전압 이상의 전압이 전선로 부근이나 애자 부근에 가해지면 주위의 공기 절연이 부분적으로 파괴되는 현상

2. 코로나 영향

- 코로나 손실 발생

- 전선의 부식 촉진

- 통신선 유도 장해

- 코로나 잡음

3. 코로나 방지대책

- 다도체 방식 채용

- 굵은 도체 사용

4. 코로나 임계전압

- 전선의 굵기가 높을수록 임계전압이 상승

- 선간거리가 클수록 임계전압이 상승

- 상대공기밀도가 클수록 임계전압이 상승

- 전선표면의 상태계수 m0가 클수록 임계전압 상승

m0 매끈한 단선 시 1, 표면이 거친 단선, 연선 순으로 1보다 작음

- 날씨계수 m1이 클수록 임계전압 상승 맑은날 1 우천시 0.8

- 기온(t)이 올라갈수록 상대공기밀도 d가 감소하게 되어 임계전압이 낮아짐

- 표고(높이:m)가 높을수록 기압이 낮아져 임계전압이 낮아짐

5. 복도체 또는 다도체 방식의 장단점

- 복도체는 단도체에 비해 인덕턴스 L은 감소하고 정전용량 C는 증가함

- 단도체에 비해 등가 반지름이 증가하여 송전용량 및 안정도가 향상되고 코로나 임계전압이 상승함

장점

- 송전용량 증대

- 코로나 손실 감소

- 안정도 증대

단점

- 건설비 증가

- 꼬임현상 및 소도체 사이에 충돌현상 발생

- 단락 시 대전류 등이 흐를때 소도체 사이에 흡인력 발생

 

1. 변압기 ∆-∆결선 방식

 

장점

- 제3 고조파 전류가 ∆결선 내를 순환하여 정현파 교류 전압이 유기되어 기전력의 파형이 왜곡되지 않음

- 1상분이 고장 나면 나머지 2대를 V결선으로 운전 가능

- 각 변압기의 상전류가 선전류의 1/루트3이므로 대전류에 적당함

단점

- 중성점 접지를 할 수 없어 지락 사고의 검출이 곤란함

- 권수비가 다른 변압기를 결선하는 경우 순환 전류가 흐름

- 각 상의 임피던스가 다른 경우 3상의 부하가 평형이라도 변압기의 부하 전류는 불평형이 됨

2. 변압기 Y -Y 결선 방식

 

장점

- 1차, 2차 모두 중성점 접지가 가능하여 고압의 경우 이상 전압을 감소시킬 수 있음

- 1차 2차 전압 사이에 위상차가 없음

- 상전압이 선간 전압의 1/루트3이므로 절연이 용이하여 고전압에 유리함

단점

- 제3 고조파 전류의 통로가 없어 기전력의 파형이 제3 고조파를 포함한 왜형파가 됨

- 중성점 접지로 인해 제3 고조파 전류가 흘러 통신선에 유도 장해를 이르킴

- 부하의 불평형에 의해 중성점 전위가 변동하여 3상 전압이 불평형을 이르켜 송배전 계통에 거의 사용하지 않음

3. 변압기 ∆- Y 결선 방식

 

장점

- 한쪽 Y결선의 중성점을 접지할 수 있음

- Y결선의 상전압이 선간 전압의 1/루트3이므로 절연이 용이함

- ∆결선이 있어 제3 고조파의 장해가 적고, 기전력의 파형이 왜곡되지 않음

단점

- 1차와 2차 선간 전압 간의 30도의 위상차가 있음

- 한 상 고장 시 전원 공급이 불가능함

- 중성점 접지로 인해 유도 장해를 초래함

4. 변압기 V - V 결선 방식

장점

- ∆-∆ 결선에서 1대의 변압기가 고장시 2대만으로도 3상 부하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음

- 설치 방법이 간단하고 소용령이면 가격이 저렴하여 3상 부하에 널리 이용됨

단점

- 설비의 이용률이 86.6%로 저하됨

- ∆결선에 비해 출력이 57.7%로 저하됨

- 부하의 상태에 따라 2차 단자 전압이 불평형이 될 수 있음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