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코로나 현상

- 임계전압 이상의 전압이 전선로 부근이나 애자 부근에 가해지면 주위의 공기 절연이 부분적으로 파괴되는 현상

2. 코로나 영향

- 코로나 손실 발생

- 전선의 부식 촉진

- 통신선 유도 장해

- 코로나 잡음

3. 코로나 방지대책

- 다도체 방식 채용

- 굵은 도체 사용

4. 코로나 임계전압

- 전선의 굵기가 높을수록 임계전압이 상승

- 선간거리가 클수록 임계전압이 상승

- 상대공기밀도가 클수록 임계전압이 상승

- 전선표면의 상태계수 m0가 클수록 임계전압 상승

m0 매끈한 단선 시 1, 표면이 거친 단선, 연선 순으로 1보다 작음

- 날씨계수 m1이 클수록 임계전압 상승 맑은날 1 우천시 0.8

- 기온(t)이 올라갈수록 상대공기밀도 d가 감소하게 되어 임계전압이 낮아짐

- 표고(높이:m)가 높을수록 기압이 낮아져 임계전압이 낮아짐

5. 복도체 또는 다도체 방식의 장단점

- 복도체는 단도체에 비해 인덕턴스 L은 감소하고 정전용량 C는 증가함

- 단도체에 비해 등가 반지름이 증가하여 송전용량 및 안정도가 향상되고 코로나 임계전압이 상승함

장점

- 송전용량 증대

- 코로나 손실 감소

- 안정도 증대

단점

- 건설비 증가

- 꼬임현상 및 소도체 사이에 충돌현상 발생

- 단락 시 대전류 등이 흐를때 소도체 사이에 흡인력 발생

 

1. 전력용 퓨즈의 기능?

- 부하 전류를 안전하게 통전

- 단락 전류는 차단

2. 전력 퓨즈의 성능(특성)은?

- 용단 특성

- 전차단 특성

- 단시간 허용 특성

3. 전력 퓨즈를 구입할 때 고려해야 할 주요 사항은?

- 정격 전압

- 정격 전류

- 정격 차단 전류

- 사용 장소

4. 전력 퓨즈의 장단점은?

장점

- 소형 경량

- 가격이 쌈

- 고속도 차단이 가능

- 보수가 용이

단점

- 재투입이 불가능

- 과전류에서 용단될 수 있음

- 최소 차단전류 영역이 있음

5. 전력 퓨즈의 가장 큰 단점은?

- 재투입이 불가능함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