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코로나 현상

- 임계전압 이상의 전압이 전선로 부근이나 애자 부근에 가해지면 주위의 공기 절연이 부분적으로 파괴되는 현상

2. 코로나 영향

- 코로나 손실 발생

- 전선의 부식 촉진

- 통신선 유도 장해

- 코로나 잡음

3. 코로나 방지대책

- 다도체 방식 채용

- 굵은 도체 사용

4. 코로나 임계전압

- 전선의 굵기가 높을수록 임계전압이 상승

- 선간거리가 클수록 임계전압이 상승

- 상대공기밀도가 클수록 임계전압이 상승

- 전선표면의 상태계수 m0가 클수록 임계전압 상승

m0 매끈한 단선 시 1, 표면이 거친 단선, 연선 순으로 1보다 작음

- 날씨계수 m1이 클수록 임계전압 상승 맑은날 1 우천시 0.8

- 기온(t)이 올라갈수록 상대공기밀도 d가 감소하게 되어 임계전압이 낮아짐

- 표고(높이:m)가 높을수록 기압이 낮아져 임계전압이 낮아짐

5. 복도체 또는 다도체 방식의 장단점

- 복도체는 단도체에 비해 인덕턴스 L은 감소하고 정전용량 C는 증가함

- 단도체에 비해 등가 반지름이 증가하여 송전용량 및 안정도가 향상되고 코로나 임계전압이 상승함

장점

- 송전용량 증대

- 코로나 손실 감소

- 안정도 증대

단점

- 건설비 증가

- 꼬임현상 및 소도체 사이에 충돌현상 발생

- 단락 시 대전류 등이 흐를때 소도체 사이에 흡인력 발생

 

1. 지중 전선로의 시설 방식 3가지

- 직접 매설식

- 관로식

- 암거식

2. 지중 전선로의 전선은 케이블을 사용함

3. 방식 조치를 하지 않은 지중 전선의 피복금속체의 접지는 제3종 접지공사를 해야함

4. 지중선에 대한 단점 및 장점(특징)

장점

- 외부 기상 조건에 영향을 받지 않음

- 유도 장해가 경감됨

- 인축에 대한 안정성이 높음

- 지중에 매설되어 있어 도시미관을 해치지 않음

- (지하 시설로) 설비보안의 유지가 용이

- 다수 회선을 동일 경과지에 부설 가능

단점

- 고장점을 발견하기 어렵고 복구가 어려움

- 설비비(설비비용)이 비쌈

- 건설공기(건설기간)가 김

- 설비 구성상 신규 수용에 대한 탄력성이 떨어짐(결연됨)

- 건설작업 시 교통장해, 분진, 소음 등이 많음

5. 지중 케이블의 고장점 탐지법

- 머레이 루프법 : 1선 지락 사고 및 선간 단락 사고 시 고장점 측정

- 펄스 레이더법 : 지락, 단락 및 단선 사고 시 고장점 측정

- 정전 용량법 : 단선사고 시 고장점 측정

3. 케이블의 트리현상이란?

- 고체절연체 속에서 나무가지 모양의 방전흔적을 남기는 절연열화 현상

- 종류: 수트리, 전기적트리, 화학적트리

 

1. 에너지 절약을 위한 동력설비의 대응방안

- 고효율 전동기 채용

- 부하의 역률개선(역률개선용 콘덴서를 전동기별로 설치)

- 전동기 제어 시스템의 적용(VVVF 시스템)

- 에너지 절약형 공조기기 system 채택(heat pump, 폐열회수 냉동기 채용, 흡수식 냉동기 채용)

- 엘리베이터의 효율적 관리(군 관리 운전방식, 운전대수 제어)

- 부하에 맞는 적정용량의 전동기 선정

 

 

2. 조명설비에서 전력을 절약하는 효율적인 방법

- 고효율 등기구 채택

- 고조도 저휘도 반사갓 채택

- 슬림라인 형광등 및 안정기 내장형 램프 채택

- 창측 조명 기구 개별 점등

- 재실감지기 및 카드키 채택

- 적절한 조광 제어 실시

- 고역률 등기구 채택

- 등기구의 보수 및 유지 관리

- 등기구의 격등 제어 및 회로 구성

- 전반 조명과 국부 조명(TAL 조명)을 적절히 병용하여 이용

 

3. 수변전 설비에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방안

- 고효율 변압기 채택

- 변압기의 운전대수제어가 가능하도록 뱅크를 구성하여 효율적인 운전관리를 통한 손실을 최소화시킴

- 전력용 콘덴서를 설치하여 역률 개선

- 최다수요전력제어(Peak Demand Control) 시스템을 채택

1. 인텔리전트 빌딩(Intelligent building)

- 빌딩 자동화 시스템, 정보 통신 시스템, 건축 환경을 총 망라하는 건설 및 유지관리의 경제성을 추구하는 빌딩

 

2. UPS(Uninterruptible Power Supply)

-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로, 인텔리전트 빌딩의 전산 시스템을 유지하기 위해 비상전원으러 사용되고 있음

- 상용전원으로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다가 정전 시 축전지의 직류를 교류로 변환하여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장치

2-1. UPS의 2차 측 단락사고 등이 발생 했을때, UPS와 고장 회로를 분리하는 방식 3가지

(1) 배선용차단기에 의한 방식

(2) 속단퓨즈에 의한 방식

(3) 반도체차단기에 의한 방식

3. 인버터(AC): 직류(DC)를 교류(AC)로 변환하는 장치

4. 컨버터(DC): 교류(AC)를 직류(DC)로 변환하는 장치

5. 축전지

- UPS가 동작되면 전력공급을 위해 필요한 축전지

5-1. 축전지용량

C=1/L*K*I

C: 축전지의 용량[Ah]

I: 방전 전류[A]

K: 용량환산 시간 계수

L: 보수율 = 정년용량 저하율

+ Recent posts